최근 국세청에서 세금 환급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서비스를 개설했습니다. 3월 31일 처음 개설했고 첫 날부터 접속자가 폭주했습니다.
방법
사이트
![]() |
출처 : 국세청 홈택스 |
정확한 사이트는 국세청 홈택스로 검색해야 됩니다. 그냥 국세청으로 검색하면 국세청 안내 자료 같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제 세금 신고, 환급 신청 등은 홈택스에서 해야 됩니다. 이런 서비스들을 위한 신청 전용으로 만든 공식 사이트 입니다. 사이트에 접속하면 중간 위치에 있는 팝업창에도 안내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서비스이고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습니다. 바로 가기를 클릭하면 로그인을 하라고 안내합니다.
공동 금융 인증, 간편 인증, 아이디, 비회원 등 다양한 방식으로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웬만하면 가입을 하고 아이디를 만들어서 로그인을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비회원으로 하면 제한된 기능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비회원으로 로그인을 하면 원클릭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간단하게 가입을 하면 나중에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좋습니다. 비밀번호를 까먹은 경우에는 간편인증으로 카카오톡 지갑 채팅으로 인증하면 비밀번호를 다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진행
STEP1
회원가입을 하고 로그인을 했으면 종합소득세 원클릭 환급신고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것을 눌러서 신청을 시작합니다. 버튼을 누르면 대상 여부를 아주 빠르게 알려줍니다. 최근 5년치 소득과 환급세액이 계산된 내용이 나옵니다. 지금 조회를 하면 2023, 2022, 2021, 2020, 2019의 소득과 환급세액이 파악하기 쉽게 계산되서 나옵니다. 아쉽게 대상이 아니라면 이전 버튼을 눌러서 이전 페이지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장려금 등도 있기 때문에 혹시 해당되는지 다른 항목도 찾아 볼 수 있습니다.
STEP2
만약 해당이 된다면 절차에 따라서 기입하고 신청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대상자에게 카톡으로 안내문자가 전송됩니다. 카톡이 없거나 2G 폰이면 간혹 안내가 누락되기도 합니다. 이외에도 누락되는 상황도 간혹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대상자에게 모두 안내가 됩니다. 안내를 받지 못했다면 해당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간단하게 입력해야 되는 것들을 쓰고 신청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에서도 할 수 있습니다.
방식
산정
민간 업체에서 하는 환급 서비스와 달리 계산된 금액을 다시 돌려줘야 되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정부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정확한 금액을 계산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나온 금액만 받는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나중에 더 받거나 다시 돌려줄 일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대상자가 아니라도 최근 소득을 정확하게 알 수 있어서 좋습니다. 연금 생활자 등의 경우에는 4년치만 계산해서 나옵니다. 근로자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타
계좌
돈을 받을 계좌를 입력하면 그곳으로 입금됩니다. 보통 2~3개월 이내로 입금이 됩니다. 더 빠르거나 느릴 수도 있습니다. 계좌를 등록하지 않아도 돈을 받는 방법도 있습니다. 계좌를 등록하지 않으면 우편으로 국세환급금 통지서가 갑니다. 이것을 지참해서 우체국으로 방문하면 해당 금액을 현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그냥 계좌로 받는 것이 편하기 때문에 계좌를 등록하는 편이 낫습니다. 혹시 궁금하다면 국세환급금 통지서를 가지고 우체국으로 갈 수 있습니다.
장점
일단 모든 과정을 진행하는데 수수료가 없습니다. 민간 업체들의 경우에는 이런 기능을 대행해주며 20~30% 수수료를 받고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 받을 수 있는 금액에서 수수료가 빠져서 아깝다는 반응이 많았습니다. 또한 나중에 돌려주는 경우도 가끔 있었습니다. 이제는 정부 공식 홈페이지에서 빠르고 간단하게 무료로 할 수 있습니다. 총 금액은 5000억 규모이고 대략 1400만명이 해당됩니다. 전체 금액은 많지만 1인당으로 계산하면 35000원 정도 입니다.